1. 하이퍼바이저의 역할 : Guest OS들의 리소스 관리, 프로세스들의 격리 (micro kernel의 역할)
2. Root VM의 역할 : 하드웨어 접근 관리 (binary translation)
3. Ring Level : 하드웨어에 어디까지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권한 (Ring level 0 : OS, Ring level 3 : user program)
Privilege Level (Ring 0, Ring 3)
"가령, 응용 프로그램이 그래픽 카드에 직접 명령을 내리는 상황이 생긴다면 어떻게 될까요? 윈도우와 같은 멀티태스킹 프로그램은 한 프로그램이 전체 화면을 다 쓰고 있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elfmfl.tistory.com
https://suyeon96.tistory.com/53
[가상화] Full Virtualization & Para Virtualization (전가상화와 반가상화)
이전 글에서 가상화와 하이퍼바이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하이퍼바이저는 다시 가상화 방식에 따라 Full Virtualization 과 Para Virtualization 으로 분류된다. Full Virtualization (전가상화) Full Virtualiza..
suyeon96.tistory.com
[AWS] 1. 가상화의 개념과 EC2 AMI
주의 개인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은 피드백주시면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개정 이력 이 글은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2020.0
isn-t.tistory.com
ㄴ 2022.08.31 추가
'Computer Science > Operating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PS, Throughput, Latency (0) | 2022.07.26 |
---|---|
멀티코어 프로그래밍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 1부 (펌) [스레드의 오버헤드...] (0) | 2022.07.25 |
캐시와 버퍼의 차이 (0) | 2022.07.21 |
Physical Thread와 Logical Thread를 구분하자! (0) | 2022.06.13 |
CPU 스케줄러 완벽 정리 (0) | 2022.06.1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