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맥북 프로에서 메모리와 디스크의 속도 차이는 얼마나 날까? [캐시의 중요성 : 최소 20배에서 최대 200배 차이!]
·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내가 쓰고 있는 맥북 프로 14인치는 현 시점에서 대중이 쓸 수 있는 가장 고성능의 컴퓨터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내가 쓰고 있는 맥북의 메모리와 디스크(심지어 NVME라서 현존하는 디스크중 가장 빠르다)의 속도 차이를 측정하면 캐시의 중요성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측정 횟수가 5번 밖에 안되니 값을 100% 신뢰하기보다는 경향성만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맥북 프로의 디스크는 읽기 속도가 7GB/s나 나오는 고성능의 NVME SSD이지만, 보편적으로는 사용중인 디스크의 속도가 이보다 훨씬 더 낮을 것이다. --- NVME DISK의 READ의 최댓값 : 7GB/s NVME DISK의 READ의 최솟값 : 0.05GB/s NVME DISK의 WRITE의 최댓값 : 5GB/s NVME..
SSD의 아키텍처 [펌]
·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https://tech.kakao.com/2016/07/14/coding-for-ssd-part-2/ 개발자를 위한 SSD (Coding for SSD) - Part 2 : SSD의 아키텍처와 벤치마킹 이 챕터에서는 NAND 플래시 메모리의 기본적인 내용과 셀 타입 그리고 SSD의 기본적인 내부 아키텍처에 대해서 살펴보고,추가로 SSD의 벤치마킹 방법과 벤치마킹 결과를 해석하는 부분도 살펴보도 tech.kakao.com
Base64 인코딩
·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쿠버네티스에서 시크릿을 만들 때, 데이터가 Base64로 인코딩되어 저장된다고 해서 알아봤다. https://effectivesquid.tistory.com/entry/Base64-%EC%9D%B8%EC%BD%94%EB%94%A9%EC%9D%B4%EB%9E%80 Base64 인코딩이란? 인코딩이란? Base64 인코딩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먼저 인코딩이란게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보자. 인코딩(encoding)은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표준화, 보안, 처리 속도 향상, 저장 공간 절약 등을 위 effectivesquid.tistory.com 깔끔하게 설명이 잘 되어있다. 아스키코드에 포함된 126개의 문자와 제어문자 중 일부는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따라 인코딩 형태가 다르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캐시 일관성이란?
·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https://goodgid.github.io/Cache-Coherence/ 캐시 일관성(Cache Coherence) Index goodgid.github.io 캐시 일관성(영어: Cache Coherence)이란 공유 메모리 시스템에서 각 클라이언트(혹은 프로세서)가 가진 로컬 캐시 간의 일관성을 의미한다.
Cache는 Storage/DB와 병렬이다. (+MESI protocol)
·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알게 된 사실 1) 캐싱을 할 때 VM - REDIS - DB/Storage 구조로 보통 나타내지만 이건 논리적인 구조다. 물리적으로는 VM - REDIS - DB - Storage 이렇게 연결되어있다. 왜? REDIS도 결국 storage인데, storage - storage가 연결되면 어떻게 데이터를 가져와? 2) write back vs write through write back : 캐시에 먼저 저장하고, 캐시에서 더이상 필요 없을 때 disk로 내린다. 장점) 속도가 빠르다. 단점) 일관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이거 CPU에서만 생기는거 아냐? http://blog.skby.net/%EC%BA%90%EC%8B%9C-%EC%9D%BC%EA%B4%80%EC%84%B1-%EC%9C%A0%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