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TP, OLAP란 뭘까?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lggdd&logNo=130185455344 OLAP, OLTP 란? 1) 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데이터 갱신위주) 네트워크 상의 여러 이용자가 실시간... blog.naver.com OLTP :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OLAP : On-Line Analytic Processing
MSA 환경에서 데이터 관리를 위한 필수 사항: 고가용성과 데이터 동기화 (퍼옴)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s-core.co.kr/insight/view/msa-%ED%99%98%EA%B2%BD%EC%97%90%EC%84%9C-%EB%8D%B0%EC%9D%B4%ED%84%B0-%EA%B4%80%EB%A6%AC%EB%A5%BC-%EC%9C%84%ED%95%9C-%ED%95%84%EC%88%98-%EC%82%AC%ED%95%AD-%EA%B3%A0%EA%B0%80%EC%9A%A9%EC%84%B1%EA%B3%BC/ 에스코어 에스코어는 디지털 혁신을 위한 고급 프로페셔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매니지먼트 컨설팅과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 서비스 오퍼링을 살펴보세요. s-core.co.kr 완전 정리가 잘되어있는 글이다. 필독!
DOIK - MongoDB (NoSQL 학습)
·
Computer Science/Database
이번엔 NoSQL의 일종인 MongoDB에 대해서 공부를 해본다... 나는 NoSQL에 대한 개념이 아예 없기 때문에, NoSQL은 뭔지, RDBMS와 비교했을 때 어떤 장점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NoSQL은 Not Only SQL의 약자다. -> 지금까지 SQL이 아니라는 뜻인줄 알았다!!! 해석을 해보면, SQL 뿐만 아니라, 인데... 그럼 추가적인 뭔가가 더 있다는거겠지? 그걸 염두에 두고 학습을 시작한다. * NoSQL은 RDBMS처럼 고정된 스키마 및 JOIN이 존재하지 않는다. 스키마 변경, ALERT등이 필요없다. * NoSQL의 종류에는 Key-Value Store (Redis), Wide Column Store (HBase, Cassandra), Document Store(Mong..
KAFKA (카프카) 공부해보자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always-kimkim.tistory.com/entry/kafka101-message-topic-partition [Kafka 101] 카프카 메시지와 토픽과 파티션 (Kafka Message, Topic and Partition) 들어가며 카프카 브로커는 프로듀서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고, 다시 이를 컨슈머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번 글은 카프카를 통해 흘러가는 메시지에 대해 알아보고, 나아가 카프카 always-kimkim.tistory.com 일단 이걸 읽고 메시지, 토픽, 파티션에 대해서 대충 개념을 잡고 https://always-kimkim.tistory.com/entry/kafka101-broker [Kafka 101] 카프카 브로커 (Kafka Broker) 들어가며..
DOIK - Operator와 Database 기본 개념
·
Computer Science/Database
가시다님이 요번에는 오퍼레이터에 대해서 알려주셨다. 참고) 주황색은 향후 지식이 더 보완되면 보충해야될 부분이다. 아직 제대로 이해가 안간 부분. 도대체 Operator가 뭐고 왜 쓰는걸까? 일단 이름만 보면, 운영을 해주는 놈이다. 쿠버네티스의 Operator pattern의 정의를 찾아보자. 자, 그럼 Operator가 뭔지는 알았다. 뭔가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운영해주는 방법 자체를 말하는건가보군! 그럼 왜 쓰는걸까? Operator의 지상 최대 목표는 human operator가 해야 하는 루틴한 일 (서비스 운영, 배포, 문제 생겼을 시 대응)을 대신하는 것이다. Operator로 반복적인 작업들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번에는 Operator에서 쓰이는 용어들을 알아보자. CRD (Custom ..
트랜잭션과 ACID 특성을 보장하는 방법 (+TPS, DB의 메모리 점유율이 항상 높은 이유)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victorydntmd.tistory.com/129 [DB이론] 트랜잭션(transaction)과 ACID 특성을 보장하는 방법 1. 트랜잭션( transaction ) 트랜잭션이란 질의(query)를 하나의 묶음 처리해서 만약 중간에 실행이 중단됐을 경우, 처음부터 다시 실행하는 Rollback을 수행하고, 오류없이 실행을 마치면 commit을 하는 victorydntmd.tistory.com 내가 데이터베이스는 많이 약해서, 항상 공부하려고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가시다님이 진행하시는 DOIK 1기에 참여하면서 강제로(?) 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하고 있다. 스터디에 참여하다보니 내가 잘 몰랐던 부분이 자연스럽게 해소되는 순기능이 있다... 요즘 틈틈히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라는 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