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t-get update & apt-get upgrade의 의미
·
System Engineering/리눅스, 라즈베리파이
WSL2로 우분투를 윈도우10에 설치하고 tree 명령어를 설치하고자 했다. 그런데 sudo apt-get install tree를 해도 안돼! 알고보니, apt-get update를 해주지 않아서 그랬어. The command apt-get update only updates the package lists. 즉, 다운 받아올 repo의 package lists가 update 되어있지 않아서 unable to locate 메시지가 떴던거야.
vim 검색 방법 (1분만에 배우기)
·
System Engineering/리눅스, 라즈베리파이
vim에서 /찾을단어 (ex. user라는 단어를 찾고 싶으면 /user) 를 치고 엔터 누르면 이렇게 형광색으루 단어가 보여요. insert 모드여서 /가 입력이 되어버리면 esc 눌러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n을 누르면 next, N을 누르면 back /는 아래 방향으로 찾는 것 ?하면 위 방향으로 찾는 것 ?apple 처럼요. * 문자열 치환 :%s/apple/banana 라고 하면 모든 apple이 banana로 변경 :%s/apple/banana/c라고 하면 바꿔도 되는지 물어봄 :%s/\/banana라고 하면 정확하게 apple만 변경함. apples나 applemango는 바꾸지 않음. :%s/apple/banana/i 라고 하면 대소문자 구분없이 바꿈 너무 설명을 잘해준 블로그가 있어서 링크..
리눅스 유저(user)와 그룹(group)의 관계
·
System Engineering/리눅스, 라즈베리파이
# 리눅스 유저(user)와 그룹(group)의 관계 파일 A가 있다구 해보죠. 이 파일/디렉토리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유저는 권한을 가져요. (주로 만든 사람이겠죠?) 유저와 별개로, 해당 파일/디렉토리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그룹에 속한 유저도 권한을 가짐 그러니까 깜빡하고 /home/pi에 대한 권한을 갖고 있는 그룹에 guest 사용자를 추가하면? -> guest 사용자가 home/pi를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다는 뜻! group과 관련된 명령어 일부! * sudo chown nobody:nogroup kcloud kcloud의 유저와 그룹을 nobody, nogroup으로 변경 * cat /etc/group 현재 서버에 존재하는 모든 group 보기
라즈베리파이 토렌트, 삼바 서버, ftp 초기 세팅하기
·
System Engineering/리눅스, 라즈베리파이
저는 라즈베리파이를 주로 3가지 용도로 사용해요. 1. transmission (torrent 다운받을 때) 2. Tomcat server (웹 페이지 포워딩할 때. http://hojaelee.com 에 들어가면 제 이력서 홈페이지가 뜨거든요? 원래 hojaelee.com은 제 라즈베리파이의 아이피인데, 라즈베리파이는 성능이 별로 안좋고 github에 올라와있는 resume 사이트를 fork해서 이용하고 싶어서 github에 올려놓은 홈페이지를 포워딩한거예요. 보기에 github.io/dev-hojae/~~ 보다는 http://hojaelee.com이 낫잖아요!) 3. Jupyter-notebook (웹 기반 파이썬 인터프리터) 4. ftp(=vsftpd)와 gsuite 활용 (토렌트로 영화를 라즈베리..
라즈베리파이3b+ 부팅시 스크립트 자동 실행하기
·
System Engineering/리눅스,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3b+ 환경에서 /etc/rc.local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요. 버그로 추정됩니다. 그렇다고 /etc/profile에 자동 실행할 스크립트나 명령어를 넣어도 안되어요. 모든 사용자들이 bash를 켤 때마다 계속해서 스크립트를 시작하거든요. (원래 부팅할 때만 켜져야 하잖아요) /etc/profile.d/bash_complete.sh 도 안됩니다. 이것도 bash를 시작할 때마다 시작되므로 이것으로 web server daemon등을 켠다면 bash를 켤 때마다 웹 서버가 이미 사용중인 포트 때문에 다른 port를 대신 쓴다는 말을 보게 됩니다... 결국 중복 프로세스가 늘어나서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이 되는거죠. 결국에는 /home/pi/.bashrc에 수정해서 pi가 bash lo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