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Pod, Replicas, NodePort, ClusterIP, LB, Ingress
·
System Engineering/Kubernetes
https://www.youtube.com/watch?v=-gIyfII5eak 쿠버네티스가 내부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대충 알았어. 그럼 뭘 체크하는지 알면 쿠버네티스를 이해한다고 볼 수 있음.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Pod이라는 것으로 감싸서 관리한다 Pod : 가장 작은 배포 단위 즉, 컨테이너를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Pod을 배포하는거야 Pod의 특징은 각 Pod마다 고유한 Ip를 부여받는다. 그래서 이 IP를 통해서 내부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당 그리구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 보통 하나의 Pod에 하나의 컨테이너만 존재하지만, 두 개의 컨테이너가 하나의 Pod에 속할 수도 있다. (여러 개의 컨테이너두 가능) 예컨대, Container와 로그를 수집하는 컨테이너 이렇게 두 ..
[1] 쿠버네티스: 아키텍쳐에 관하여
·
System Engineering/Kubernetes
https://www.youtube.com/watch?v=SNA1sSNlmy0 Desired State 상태를 체크하고, 차이점을 발견하고, 조치를 취한다. 그리고 이걸 루프를 돌린다. Scheduler 1번 서버는 컨테이너 1개가 띄워져 있고, 2번 서버는 비어있어. 그러니까 컨테이너 요청이 오면 2번 서버에 새로운 컨테이너를 넣자. 라고 계속 컨테이너 상태를 체크하는 사람이 Scheduler야. Controller 컨테이너 하나가 떠있었는지 안떠있었는지, 네트워크, 노드 체크하는 것들을 다 Controller라구 함 그래서 Desired State가 굉장히 많아질 수가 있다. Replication Controller : 복제가 잘 됐는지만 확인하는 컨트롤러 Endpoint Controller : 로드..
[0] 쿠버네티스: 역할 및 생겨난 이유, 사용 목적
·
System Engineering/Kubernetes
https://www.youtube.com/watch?v=Ia8IfowgU7s 서버를 관리하다보니 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어 -> 이걸 써보니까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버전이 충돌이 나고 그러는거야 아 이거 좀 불편한데... 그래서 나온게 가상 머신이야 (VM) 좀 느리고 관리도 불편하지만, 좋아! 근데 특정 벤더에 종속되고 현재 클라우드 환경에 좀 맞지 않다. 그래서 나온게 Docker야 컨테이너의 특징 * VM과 비교해서 컨테이너 생성이 쉽고 효율적 * 배포와 롤백이 간단 * 언어나 프레임워크와 상관없이 애플리케이션을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 * 개발, 테스팅, 운영 환경은 물론 로컬 피시와 클라우드까지 동일한 환경을 구축 * 특정 클라우드 벤더에 종속적이지 않음. 오픈 소스거든.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컨..
vim 검색 방법 (1분만에 배우기)
·
System Engineering/리눅스, 라즈베리파이
vim에서 /찾을단어 (ex. user라는 단어를 찾고 싶으면 /user) 를 치고 엔터 누르면 이렇게 형광색으루 단어가 보여요. insert 모드여서 /가 입력이 되어버리면 esc 눌러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n을 누르면 next, N을 누르면 back /는 아래 방향으로 찾는 것 ?하면 위 방향으로 찾는 것 ?apple 처럼요. * 문자열 치환 :%s/apple/banana 라고 하면 모든 apple이 banana로 변경 :%s/apple/banana/c라고 하면 바꿔도 되는지 물어봄 :%s/\/banana라고 하면 정확하게 apple만 변경함. apples나 applemango는 바꾸지 않음. :%s/apple/banana/i 라고 하면 대소문자 구분없이 바꿈 너무 설명을 잘해준 블로그가 있어서 링크..
리눅스 유저(user)와 그룹(group)의 관계
·
System Engineering/리눅스, 라즈베리파이
# 리눅스 유저(user)와 그룹(group)의 관계 파일 A가 있다구 해보죠. 이 파일/디렉토리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유저는 권한을 가져요. (주로 만든 사람이겠죠?) 유저와 별개로, 해당 파일/디렉토리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그룹에 속한 유저도 권한을 가짐 그러니까 깜빡하고 /home/pi에 대한 권한을 갖고 있는 그룹에 guest 사용자를 추가하면? -> guest 사용자가 home/pi를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다는 뜻! group과 관련된 명령어 일부! * sudo chown nobody:nogroup kcloud kcloud의 유저와 그룹을 nobody, nogroup으로 변경 * cat /etc/group 현재 서버에 존재하는 모든 group 보기
라즈베리파이 토렌트, 삼바 서버, ftp 초기 세팅하기
·
System Engineering/리눅스, 라즈베리파이
저는 라즈베리파이를 주로 3가지 용도로 사용해요. 1. transmission (torrent 다운받을 때) 2. Tomcat server (웹 페이지 포워딩할 때. http://hojaelee.com 에 들어가면 제 이력서 홈페이지가 뜨거든요? 원래 hojaelee.com은 제 라즈베리파이의 아이피인데, 라즈베리파이는 성능이 별로 안좋고 github에 올라와있는 resume 사이트를 fork해서 이용하고 싶어서 github에 올려놓은 홈페이지를 포워딩한거예요. 보기에 github.io/dev-hojae/~~ 보다는 http://hojaelee.com이 낫잖아요!) 3. Jupyter-notebook (웹 기반 파이썬 인터프리터) 4. ftp(=vsftpd)와 gsuite 활용 (토렌트로 영화를 라즈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