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ev-ahn.tistory.com/96
리눅스 - 파일 디스크립터
File Descriptor (파일 디스크립터) [출처: http://dev.plusblog.co.kr/22] 1. 파일 디스크립터 - 시스템으로부터 할당 받은 파일을 대표하는 0이 아닌 정수 값 - 프로세스에서 열린 파일의 목록을 관리하는 테
dev-ahn.tistory.com
음..
FD를 언제 쓰냐하면, WebtoB에서 프로세스 생성할 때 쓰는거같음.
프로세스도 파일이니까, 한 번에 열 수 있는 파일의 갯수가 너무 낮으면 프로세스가 안만들어지는거지 (=메모리가 할당 안되는거)
그래서 FD를 최소한 8192K 이상으로는 잡아달라고 했음. WebtoB 강의에서.
[Linux] ulimit 설명 및 설정방법
ulimit 이란? ulimit는 프로세스의 자원 한도를 설정하는 명령, soft한도,hard한도 두가지로 나뉨 soft : 새로운 프로그램을 생성하면 기본으로 적용되는 한도 hard : 소프트한도에서 최대
sysops.tistory.com
'Computer Science > Operating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 & Ring level (0) | 2023.04.14 |
---|---|
운영체제 이해하기 쉽게 정리된 블로그 (0) | 2022.08.08 |
IOPS, Throughput, Latency (0) | 2022.07.26 |
멀티코어 프로그래밍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 1부 (펌) [스레드의 오버헤드...] (0) | 2022.07.25 |
Virtualization 정리 (+Ring level, binary translation [소프트웨어 전가상화], trap&emulate[하드웨어 전가상화]) (0) | 2022.07.25 |
최근댓글